1. 실존치료의 목표
실존치료는 내담자가 본래성을 따르는 온전한 삶을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지하고 스스로의 가능성에 따른 존재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불안을 마주하고, 존재의 가치를 만들어내고, 진정한 목적을 기반으로하는 행동을 취하도록 합니다. 실존치료는 이러한 인식의 증가를 핵심 목표로 두며, 이전에는 인식하지 못했던 대안적인 가능성이 존재함과 스스로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합니다.
2. 상담사의 역할과 내담자의 경험
실존치료에서 상담사는 내담자의 주관적 세계를 이해하여 새로운 이해와 대안적 행동에 대해 내담자가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합니다. 내담자가 책임을 회피하려는 부분에 관심을 두고 지속적으로 내담자가 개인적인 책임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실존치료는 견고한 원칙이나 기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담사는 내담자에 맞게 상담을 조율하고 상담자만의 진정성 있는 기법을 만들어야 합니다.
내담자는 실존치료를 통해 자신의 삶 속에서 어떻게 존재할지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격려 받습니다. 치료회기 동안에 탐색할 불안, 두려움, 죄책감에 대해 스스로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치료에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내담자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인식하고, 자신이 원하는 모습의 미래를 더욱 잘 결정할 수 있게 됩니다. 실존치료는 해결 지향적이라기보다는 삶의 장애물을 걷어내고 내담자가 스스로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목표를 둡니다.
실존치료에서 상담사와 내담자의 관계는 제일 중요한 요소입니다. 치료 장면을 사회의 축소판으로 여깁니다. 그리고 상담사와 내담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어떠한 것들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주의를 기울입니다. 상담사는 내담자에게 정직함, 존중, 진실성, 용기와 같은 것들을 제공합니다. 이는 상담사와 내담자 모두에게 있어서 삶을 발견하는 여정과도 같습니다.
3. 상담의 단계과 실존치료에 적합한 내담자
실존치료는 진단이나 치료, 치료의 예후에 의존하는 다른 치료방식과는 다르게 내담자의 주관적인 현실 설명과 이해와 삶을 탐색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상담사와 내담자는 창의적 개방성을 주요 기반 원칙으로 삼고, 상담사의 성격과 방법에 따라 개입법을 조정합니다. 그리고 내담자의 고유성과 더불어 내담자가 필요로 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치료는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집니다. 상담 초기에는 내담자가 세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정들을 확인하고 명확하게 하도록 돕습니다. 내담자는 자신의 존재를 반영하고 삶의 문제를 만들어내는 자신의 역할을 탐색하게 됩니다. 중기에는 삶의 가치와 태도를 더욱 철저하게 탐색하는 새로운 통찰력과 재구조화를 필요로하게 됩니다. 상담말기에는 스스로에 대해 배운 것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행동에 옮기는 것에 초점이 맞춰집니다. 상담사는 내담자가 치료 동안에 탐색하고 내재화시킨 가치를 구체적으로 삶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돕습니다.
실존치료에 적절한 내담자는 삶의 주요 결정에 직면한 사람들에게 적절합니다. 그들은 발달적 위기나 슬픔 또는 상실의 경험, 죽음을 직면합니다. 또한 청소년기의 정체성에 대한 투쟁, 중년기에 경험하는 실망감, 자녀를 독립시키는 것에 적응하는 것. 직장과 결혼에서 실패하는 것, 나이가 들어 신체적인 한계에 부딪히는 등 발달적 도전과제에서 위기를 느끼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중심치료 상담자의 역할과 내담자의 경험 (0) | 2021.08.31 |
---|---|
인간중심치료 이론 (0) | 2021.08.27 |
실존치료가 인간을 보는 관점 (0) | 2021.08.18 |
분석심리학의 성격발달 (0) | 2021.08.17 |
융의 분석심리학 (0) | 2021.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