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립과 창의성
누군가는 제한된 환경, 즉 고립된 환경이 창의적인 일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또 다른 누군가는 자극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영감을 얻기 힘들다고 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고 많은 사람들의 활동이 줄어들었습니다. 외출에 제한이 생기고, 재택근무를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져 외로움을 느끼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했습니다.
특히 여행 에세이를 쓰는 사람은 여러 감각을 활용하여 영감을 얻습니다. 그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며 새로운 생각과 태도를 배울 수 있었죠. 그러나 팬데믹 상황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불가능하고, 이런 이들에게 자극 부족과 고립은 창의성을 죽입니다. 그러나 재미있게도 어떤 사람들에게는 고립이 창소적인 사고를 촉발시키기도 합니다. 폐쇄적인 환경에서 누구보다도 많은 작업과 창의적인 일을 생산합니다. 그렇다면 고립된 상황에서 누군가는 창의성의 줄어들고, 누군가는 창의성이 촉발되도록 하는 차이는 어디에 있을까요? 어디에서 어떻게 영감의 원천을 찾는지 이해하면 고립된 상황에서 창의적이지 못한 사람들에게 창의력을 발휘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지루함과 자극
우리는 창의성에 매료됩니다. Wired To Create: Unraveling Mysteries of the Creative Mind의 공동 저자인 심리학자 Scott Barry Kaufman은 창의성을 모순적으로 보이는 특성과 습관의 조합으로 설명했습니다. 다시말해, 그는 창의성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자신의 생각에 편안함을 느끼는 능력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지루함의 과학: 지루함이 좋은 이유의 저자인 Sandi Mann은 창의성을 위한 상반되는 자극인 지루함과 자극이라는 요인을 강조하며, 지루함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창의성을 결정한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고독한 상황에 처했을 때 창의성을 활용할 수 있는지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보통은 새로운 자극에서 창의성을 얻지만 그녀는 실제로 지루함 속에서 마음이 방황하도록 두면 창의성이 생길 것이라고 말합니다.
주의해야할 것은 지루함을 느끼기에 너무 최적화된다면 오히려 에너지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리더십 트레이너이자 연극 감독이자 싱어송라이터인 Dannie-Lu Carr은 독창적인 영감을 얻기 위해 여행과 사람들을 만나왔습니다. 팬데믹 이전 Carr은 사람들과 대화하며 영감을 얻고, 기차나 비행기를 통해 길고 고독한 이동 속에서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그러나 팬데믹 속에서 고립을 깨는 자극이 없어지자 Carr은 창의성을 발휘하기가 더 어렵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녀는 다른 사람들과 긴밀하게 접촉하고 협력하면서 얻을 수 있는 영감을 잃어버렸습니다. 그녀는 아이디어를 얻고 발산할 수 있는 사람들과의 소통을 그리워합니다.
그러나 Mann은 지루함의 달콤한 스폿을 달성한 사람들은 오래되는 고립 속에서도 창의성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자극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지만 너무 바쁜 삶은 오히려 자극에서 얻은 영감을 창의적인 작업으로 전환하는데 방해가 됩니다. 영감을 얻는데 에너지를 다 썼기 때문입니다.
3. 새로운 방법 시도하기
우리는 팬데믹이 주는 고립 속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 창의적 과정을 다시 살펴보고 유용한 자극이 무엇인지 재정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Kaufman은 일부 사람들이 자신만의 오래된 방식에 갇혀 창의성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그는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확장하도록 격려합니다. 집에 갇혀 있다고 해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일기 쓰기, 명상, 마음 챙김과 같은 방법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내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Kaufman은 감정을 일기로 작성하는 것이 창의성을 돕는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타인과 협업을 해야하는 사람들에게는 온라인 그룹에 참여하거나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들과 만나 이야기할 것을 제안합니다. Kaufman은 이러한 대화를 정기적으로 진행한다면 창의력은 반드시 나타날 것이라고 합니다. 그는 사람들이 상자 밖에서 생각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이라고 믿습니다. 중요한 것은 예전과 같은 방식을 지속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또한 창작에 대한 압박을 떨쳐버리고, 최종 목표를 포기하면 새로운 것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창의성을 강조하지 않는 것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인간관, 무의식과 성격구조 (0) | 2021.08.11 |
---|---|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0) | 2021.08.11 |
폭식증의 뇌가 음식을 활용하는 방법 (0) | 2021.08.10 |
피니어스게이지, 머리에 쇠막대기가 꽂힌 남자 (0) | 2021.08.10 |
뇌의 크기와 지능의 관계 (0) | 2021.08.10 |
댓글